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UE Interface
- red black tree
- ubuntu
- database
- standart template library
- standard template library
- web
- Hash Table
- Unreal Engien
- 4-legged Animal
- UE Vehicle
- Projetile
- oracle cloud
- Zombie
- unreal engine
- inventory
- 개발일지
- portfolio
- UE4
- redis
- Animal IK
- 텍스쳐 스트리밍 풀
- houdini
- Texture Streaming Pool
- Portfoilo
- 메이플스토리
- Weapon Animation
- STL
- AI Perception
- 포트폴리오
- Today
- Total
블로그
[Houdini] 01. 기초 및 인터페이스 본문
*이 글은 https://www.sidefx.com/learn/getting_started/에 있는 튜토리얼을 따라 공부한 것을 정리한 글입니다.
나는 언리얼 엔진과 연동하여 맵을 만드는 것이 Houdini 공부의 목적이다. 그리고 목적을 위한 공부를 우선하여 완전 기초를 탄탄하게 다지면서 진행하지는 않을 것이므로 글의 부족한 점에 대한 양해를 구한다. 어느정도 다룰 줄 알고 목적을 이루고 나면 툴을 좀 더 익힐 생각이다.
1. Houdini란?
Houdini는 노드 기반의 절차지향 3D 툴이다 이 노드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Houdini를 익히는데 있어 핵심 요소이다.이러한 절차적 단계를 통해 Modeling, Rigging, Lighting, Rendering, Visual effects 등에 사용 가능하다.
2. 코딩을 해야하는가?
노드를 사용하는데 있어 코드 입력이 필수는 아니지만, VEX, Python, PyQT 등을 기반으로 사용할 수는 있다!
3. 인터페이스 및 조작 정리(전체 정리는 불가능하고 기초에 필요한 정도만 정리)
- Scene View : 실체가 있는 도형으로 보여지는 공간
- Network View : 노드가 있는 공간
- Shelf Tools : 인터페이스 상단의 툴바 등
- Radial Menus : Scene View에서 x(snapping), c(main), v(views)키를 누르면 원형의 메뉴가 나타남
- Tab Menu : Scene View에서 Tab키를 누르면 보편적인 리스트 형식의 메뉴가 나타남
- 3D View Tools : 회전(Tumble, Spacebar/Alt + LMB), 이동(Pan, Spacebar/Alt + MMB), 확대(Dolly, Spacebar/Alt + RMB), Home Construction Plane(Spacebar + H), Frame All(Spacebar + A), Home Selected(Spacebar + G), View에 초점 맞추기(Esc)
- 2D Pan and Zoom : 좌측 상단의 위젯을 통해 뷰 조절, 뷰 초기화 단축키는 Ctrl + LMB
- First Person Camera : 일인칭 모드 전환(M), 앞/뒤(W/S), 좌/우(A/D), 화면전환(LMB). 일인칭 게임 조작하듯 움직이는 것
- Viewport Display Menus : Scene View 우측 상단에 존재, Scene View에서 v를 눌러 나오는 Radial Menu 항목과 동일
3-1. Nodes & Networks
- Network View 조작
- Connect Node : 아웃풋에서 인풋으로 LMB 드래그, 또는 J키를 누르며 연결할 노드 드래그
- Insert New Node : 아웃풋에서 RMB, 또는 LMB 드래그
- Cut Wire : Y키를 누르며 드래그하여 와이어 자르기
- Copy Node : Alt + LMB 드래그
- Reference Copy : Alt + Shift + Ctrl + LMB 드래그
- Node Galleries : 노드 갤러리에 자주 사용하는 노드를 추가하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 노드에 우클릭하여 Save to Gallery로 추가
- Network Types : 네트워크 타입은 Network View 우측 상단에 적혀있음
- Scene : Object(OBJ)
- Geometry : Surface Operator(SOP)
- Solaris : Lighting/Layout Operators(LOP)
- Materials : VEX Builder(MAT)
- Motion FX : Channel Operators(CHOP)
- VEX : VEX Builder(VOP)
- Outputs : Render Operators(ROP)
- Tasks : Task Operators(TOP)
- Dynamics : Dynamic Operators(DOP)
- Compositing : Compositing Operators(COP/IMG)
- Network Paths : 노드는 계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노드 속에 노드가 있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음. 이를 탐색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이 모여있는 툴바.
- Navigation Networks : Network View에서 n키를 눌러 Radial Menu를 켤 수 있다
- 노드 진입 : I(Dive In)
- 상위 노드로 복귀 : U(Jump Up)
- Object/Geometry 전환 : F8
- 이전/다음 네트워크 : Alt + ←/→
- 퀵마크 : 현재 View 마킹(Ctrl + 1, 2, 3, 4, 5), 마킹된 View로 복귀(1, 2, 3, 4, 5), 바로 직전 View로 복귀(`)
4. SideFX Labs
아티스트나 게임 개발자 등 Houdini 사용자들의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툴을 제공한다. 내 목적인 World Building에 관련해서 사용해야 하는 툴이 정리되어 있었다.
- Physics Painter
- Building Generator
- OSM Import
- OSM Buildings
- Cable Generator
- Curve Branches
- Dirt Skirt
- Lot Subdivision
- MapBox
- SciFi Panels
- Snow Buildup
- Terrain Texture Output
위의 키워드를 검색해가며 공부하면 될 것 같다!